강필효(姜必孝·1764~1848)가 남긴 '어록'의 한 대목이다.
삼환사실(三患四失).
우리南陽洪氏中郞將派大宗家의戀主亭記를쓰신강필효선생의글이조선일보에올려져있길래옮겨적어본다.
강필효(姜必孝·1764~1848)가 남긴 '어록'의 한 대목이다.
'배움에는 삼환사실(三患四失),
즉 세 가지 근심과 네 가지 잃음이 있다.
미처 알지 못할 때는 듣지 못함을 근심하고,
듣고 나서는 배우지 못함을 근심하며,
배운 뒤에는 행하지 못함을 근심한다.
이것을 일러 세 가지 근심이라 한다.
혹 너무 많은 데서 잃고,
혹 너무 적은 데서 잃으며,
혹 너무 쉬운 데서 잃고,
혹 중도에 그만두는 바람에 잃는다.
이를 두고 네 가지 잃음이라 한다.
'(學有三患四失, 未聞患弗聞, 旣聞患弗學, 旣學患弗行, 斯謂之三患. 或失之多, 或失之寡, 或失之易, 或失之止, 斯謂之四失.)
공부하는 사람이 놓지 말아야 할 점검처와 놓치기 쉬운 지점을 쉽게 말했다.
몰라 안타깝고,
알면 배워 익히며,
익힌 뒤엔 실행에 옮긴다.
배우고도 실천에 옮길 뜻이 없다면 애초에 안 배우는 것이 낫다.
알고도 배울 마음이 없다면 아예 안 듣느니만 못하다.
몰라도 아쉬울 게 없으면 무지렁이 밥벌레로 살면 된다.
깨달아 알고, 배워 행할 뜻을 품었거든 다음 네 가지 문제에 걸려들지 않게 조심한다.
아는 게 너무 많으면 공부가 잡다해져 몰입을 방해한다.
든 게 너무 없어도 실마리를 못 잡고 헤맨다.
쉽다고 우습게 보면 거기에 걸려 넘어진다.
공부는 일상의 손쉽고 가까운 의리에서 출발해서 끝난다.
'이만하면 됐지' 하는 순간 그간의 공부가 와르르 무너진다.
다시 덧붙인다.
'군자는 사요(四要),
즉 네 가지 요점을 붙들어야 한다.
마음은 맹렬히 살펴야 하고,
뜻은 굳게 붙들어야 한다.
몸은 진득이 무거워야 하고,
기운은 떨쳐 펼 수 있어야 한다.
'(君子有四要, 心要猛省, 志要堅持, 軆要凝重, 氣要振發.)
반성 없이 발전 없고,
굳셈이 아니고는 뜻을 못 세운다.
몸가짐은 묵직하게,
하지만 기상은 높아야 한다.
한 번 더 쐐기를 박았다.
'오늘 안 하고 내일도 안 하니 마흔에도 한 것이 없다.
쉰부터 쇠약해진다.
쇠약이 쌓여 늙고,
늙음이 누적되면 죽는다.
그래서 군자는 죽을 때까지 이름이 일컬어지지 않음을 미워한다고 하는 것이다.
'(今日不做, 明日不做, 四十無聞, 五十始衰. 積衰成老, 積老成死, 故曰君子疾沒世而名不稱.)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강필효
본관은 진주(晉州).
초명은 세환(世煥).
字는 중순(仲順),
號는 해은(海隱) 또는 법은(法隱).
봉화 법전(法田)출신.
아버지는 식(植)이며, 어머니는 진성이씨(眞城李氏)로 중연(重延)의 딸이다.
소론(少論)의 영수인 윤증(尹拯)의 제자 강찬(姜酇)의 후손으로 윤광소(尹光紹)를 스승으로 섬겼다.
1800년(정조 24) 집 동쪽에 중국 창주(滄洲)에 있는 주희(朱熹)의 경의재(敬義齋)를 모방하여 서실(書室)을 짓고,
주자의 「백록동규(白鹿洞規)」와 성혼(成渾)의 「우계서실의(牛溪書室儀)」를 써서 걸고,
윤증의 획일도(畵一圖)를 준칙(準則)으로 삼았는데,
사방에서 많은 제자들이 모여들었다.
1803년(순조 3)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순릉참봉(順陵參奉), 1814년(순조 14)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洗馬)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퇴하였다.
1842년(헌종 8) 조지서별제(造紙署別提)에 임명되었다가 곧 충청도도사로 옮겼으며,
이듬해 통정대부에 승진,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에 이르렀다.
사서(四書)와 육경(六經), 여러 성리서를 깊이 연구하였다.
그는 천명(天命)은 이(理)로 말하는 경우도 있고, 기(氣)로 말하는 경우도 있다고 논하였다.
또한, 이기선후설(理氣先後說)에 있어서 이선기후(理先氣後)·기선이후(氣先理後)가 모두 가능하며, 이기는 서로 체용(體用)이 된다는 이기론을 전개하였다.
저술로는 『고성현고경록(古聖賢考經錄)』·『근사속록(近思續錄)』·『소계회화록(素溪會話錄)』·『석척록(夕惕錄)』·『사유록(四遊錄)』·『경서고이(經書考異)』 등이 있으며, 문집인 『해은유고』가 있다.
'내생각이머무는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양홍씨남양군.문량공은26代江原道都觀察使이시다. (0) | 2015.10.29 |
---|---|
안동분천리 영천이씨분강서원창원일기. (0) | 2015.10.27 |
[스크랩] 철권[ 鐵券 ] (0) | 2015.09.16 |
남양홍씨정통보(正統譜)에대한 흔적... (0) | 2015.08.10 |
당성사 (0) | 2015.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