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국 功臣홍유열전..
高麗史 列傳
洪儒, 初名術, 義城府人. 弓裔末年, 與裴玄慶·申崇謙·卜智謙, 同爲騎將密謀, 夜詣太祖第, 言曰. “自三韓分裂, 群盜競起, 今王奮臂大呼, 遂夷滅草寇, 三分遼左, 據有大半. 立國定都, 將二紀餘, 今不克終, 縱虐太甚, 淫刑以逞, 殺妻戮子, 誅夷臣僚. 民墜塗炭, 疾之如讎, 桀紂之惡, 無以加也. 廢昏立明, 天下之大義, 請公行殷周之事.”
홍유(洪儒)는 처음 이름이 홍술(洪術)로, 의성부(義城府) 사람이다.
궁예 말년에 같은 기장(騎將)인 배현경(裴玄慶)·신숭겸(申崇謙)·복지겸(卜知謙)과 함께 은밀히 계략을 꾸민 다음, 밤에 태조의 집을 찾아가 다음과 같이 요청했다.
“삼한(三韓)이 분열된 이후 도적의 무리가 다투어 봉기하자, 지금의 왕(궁예)이 용맹을 떨쳐 크게 호령하여 마침내 초적(草寇)을 평정하고 세 지역으로 나누어진 나라 땅 가운데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습니다.
나라를 세우고 도읍을 정한지도 스물 네 해 남짓 지났으나, 이제 끝을 잘 마무리하지 못하고 잔학한 짓을 너무 제멋대로 하며 형벌을 부당하게 행하여 아내와 아들을 살육하고 신료를 죽여 씨를 말리고 있습니다.
백성은 도탄에 빠져 그를 원수같이 미워하니 하나라의 걸왕(桀王)과 은나라의 주왕(紂王)의 악정도 이보다 더하지 않았습니다.
포악한 왕을 내몰고 현명한 왕을 세우는 것은 천하의 대의이니, 바라건대 공께서는 은나라와 주나라의 옛 일을 실행하소서.”
太祖作色, 拒之曰, “吾以忠義自許, 王雖暴亂, 安敢有二心? 以臣伐君, 斯謂革命, 予實不德, 敢效湯武之事乎? 恐後世以爲口實. 古人云, ‘一日爲君, 終身爲主.’ 况延陵季子曰, ‘有國非吾節也.’ 乃去而耕焉, 吾豈過季子之節乎?” 儒等曰, “時難遭而易失. 天與不取, 反受其咎. 國中民庶受毒痡者, 日夜思欲復之, 且權位重者, 並遭虐殺, 略無所遺. 今之德望, 未有居公右者, 衆情所以望於公也. 公若不從, 吾等死無日矣. 况王昌瑾鏡文如彼, 豈可違天, 死於獨夫之手乎?”
태조가 안색을 바꾸며 거절하였다.
“내가 스스로를 충의롭다고 자부하고 있는 터에, 왕이 비록 포악하기로서니 어찌 배반하는 마음을 가지겠소?
신하가 군주를 치는 것을 혁명이라 이르는데, 나는 진실로 덕이 없으니 어찌 감히 은나라 탕왕(湯王)과 주나라 무왕(武王)의 옛 일을 본받겠소?
뒷사람들이 이 일을 구실로 삼을까 두렵소.
옛 사람이 ‘하루라도 군주로 삼았으면 죽을 때까지 주군으로 섬긴다.’고 하였고, 더욱이 연릉계자(延陵季子)는 ‘나라를 차지함은 나의 절조가 아니다.’라 하며 이내 떠나서 농사를 지었다고 하였으니, 내가 어찌 연릉계자의 절조를 간과하리오?” 홍유 등이 다시 요청했다.
“때는 만나기 어려우나 잃기는 쉽습니다.
하늘이 주는데도 받지 않는다면 도리어 하늘의 재앙을 받는 법입니다.
악정의 해독을 입은 나라 안 백성들은 밤낮으로 복수하고자 생각하고 있으며, 게다가 권세와 지위가 높은 사람들은 모두 죽음을 당하여 거의 남아 있지 않습니다.
지금 덕망으로는 공과 견줄 사람이 없으니, 그런 까닭에 많은 사람들의 뜻이 공에게 희망을 걸고 있습니다.
공께서 허락하지 않는다면 우리들은 언제 죽을지 모릅니다.
더구나 왕창근(王昌瑾)의 거울에 나타난 글이 저러한데 어찌 하늘의 뜻을 어기고 포악한 왕[獨夫]의 손에 죽겠습니까?”
於是, 諸將扶擁而出, 黎明坐於積穀之上, 行君臣之禮. 令人馳且呼曰, “王公已擧義旗矣.” 裔聞之, 驚駭亡去. 太祖卽位, 詔策推戴功. 以儒·玄慶·崇謙·智謙, 俱爲一等, 賜金銀器·錦·繡綺被褥·綾羅·布帛. 太祖慮靑州反側, 儒與庾黔弼, 率兵千五百, 鎭鎭州以備之. 由是, 靑州不克叛, 遷大相. 二年, 改烏山城爲禮山縣, 遣儒及大相哀宣, 安集流民五百餘戶. 十九年, 從太祖擊百濟, 滅之. 卒謚忠烈.
이리하여 여러 장수들이 옹위하고 나와 새벽녘에 노적가리 위에 앉히고서 군신의 예를 거행하였다.
그리고 사람을 시켜 말을 달리며,
“왕공께서 의로운 깃발을 들어 올리셨다!”고 크게 외치게 하였다.
궁예가 이 소식을 듣고 놀라 도망 가버렸다.
태조가 즉위하자 조서를 내려 자신을 추대한 공신들을 책봉하였다.
홍유·배현경·신숭겸·복지겸을 모두 일등공신으로 삼아 금·은으로 만든 그릇과 수놓은 비단 옷 및 화려한 이부자리, 무늬가 있는 얇은 비단과 포백(布帛)을 내려주었다.
태조가 청주(靑州)에서 반란이 일어날까 우려하여, 홍유와 유금필(庾黔弼)을 시켜 군사 1천 5백 명을 거느리고 진주(鎭州 : 진천군)에 주둔하여 이에 대비하게 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청주는 반란을 일으킬 수 없었다.
그 공으로 홍유는 대상(大相)으로 승진하였다.
태조 2년(919)에 오산성(烏山城)을 예산현(禮山縣)으로 고치고, 홍유와 대상 애선(哀宣)을 보내어 유민 5백여 호를 정착시켰다.
19년(936)에는 태조를 따라 백제를 쳐서 멸망시켰으며, 죽은 뒤에 시호를 충렬(忠烈)이라 하였다.
玄慶, 初名白玉衫, 慶州人. 膽力過人, 起行伍, 累進大匡. 太祖以靑州人玄律, 爲徇軍郞中, 玄慶與崇謙駁曰, “往者, 林春吉爲徇軍吏, 圖爲不軌, 事泄伏辜. 此乃典兵權而恃本州故也. 今又以玄律爲徇軍郞中, 臣等竊惑之.” 太祖善之, 改授兵部郞中. 太祖征討四方, 玄慶功居多. 十九年, 疾篤, 太祖幸其第, 執其手曰, “嗟乎命矣! 夫卿子孫在, 予其敢忘?” 太祖出門, 而玄慶卒, 遂駐駕, 命官庀葬事而後還. 謚武烈, 子殷祐.
배현경(裴玄慶)은 처음 이름이 백옥삼(白玉衫)이며,
경주(慶州) 사람이다.
담력이 남달리 뛰어나 군졸 출신으로 여러 차례 승진하여 대광(大匡)이 되었다.
태조가 청주(靑州) 사람인 현율(玄律)을 순군낭중(徇軍郞中)으로 임명하자, 배현경이 신숭겸과 함께, “지난 날 임춘길(林春吉)이 순군리(徇軍吏)로 있으면서 모반을 꾀하다가 일이 발각되자 죄를 자백하고 사형을 받았습니다.
이것은 곧 그가 병권(兵權)을 장악하고 자신의 출신지를 믿었기 때문입니다.
지금 다시 현율을 순군낭중으로 임명하니, 신들은 저으기 의아스럽게 생각합니다.
”라고 반대하므로, 태조도 이 말을 옳게 여기고 병부낭중(兵部郞中)으로 바꾸어 임명하였다.
태조가 전국을 정벌하는 과정에 배현경이 크게 전공을 세웠다. 태조 19년(936)에 그가 위독하자, 태조가 그의 집으로 가서 손을 잡고, “아아! 운명이로다.
경의 자손을 내가 감히 잊을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태조가 문을 나서자 곧 배현경이 죽었으므로 어가(御駕)를 멈추고 나라의 비용으로 장사를 치르는 일을 돕게 한 뒤에 환궁하였다.
시호를 무열(武烈)이라 하였으며,
아들은 배은우(裴殷祐)이다.
崇謙, 初名能山, 光海州人. 長大, 有武勇. 十年, 太祖與甄萱, 戰於公山桐藪, 不利. 萱兵圍, 太祖甚急, 崇謙時爲大將, 與元甫金樂, 力戰死之. 太祖, 甚哀之, 謚壯節, 以其弟能吉·子甫, 樂弟鐵, 並爲元尹, 創智妙寺, 以資冥福.
신숭겸(申崇謙)은 처음 이름이 능산(能山)이며,
광해주(光海州 : 춘천) 사람이다.
체격이 크고, 무예에 뛰어나며 용맹스러웠다.
10년(927)에 태조가 공산(公山 : 대구 팔공산)의 동수(桐藪)에서 견훤과 전투를 벌였는데, 전세가 불리하였다.
견훤의 군사가 태조를 포위하여 매우 위급한 상황이 되자 당시 대장이던 신숭겸은 원보(元甫) 김락(金樂)과 함께 힘껏 싸우다가 그 곳에서 전사하였다.
태조가 그의 죽음을 매우 슬퍼하여 시호를 장절(壯節)이라 하고, 그의 아우 신능길(申能吉)과 아들 신보(申甫), 김락의 아우 김철(金鐵)을 모두 원윤(元尹)으로 임명하였으며, 지묘사(智妙寺)를 창건하여 명복을 빌게 하였다.
智謙, 初名砂瑰. 桓宣吉·林春吉之謀反也, 智謙皆密告誅之. 卒謚武恭. 成宗十三年, 四人皆贈太師, 配享太祖廟庭.
복지겸(卜智謙)은 처음 이름이 사괴(砂瑰)이다.
환선길(桓宣吉)·임춘길(林春吉)이 모반하자, 복지겸이 모두 은밀히 보고하여 그들을 죽였다.
죽은 후 시호를 무공(武恭)이라 하였다.
성종 13년(994) 홍유·배현경·신숭겸·복지겸 네 사람에게 모두 태사(太師)를 추증하고 태조의 묘정에 배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