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南陽(唐城)人 副提學洪循性의壻郞 李德崇
어풍대08
2019. 2. 11. 21:20
南陽(唐城)人 副提學洪循性의壻郞 李德崇.
호(號) | 단강(丹江) | |||||||||||||||
생년 | ?(미상) | |||||||||||||||
졸년 | 1504(연산군 10) | |||||||||||||||
시대 | 조선전기 | |||||||||||||||
본관 | 전의(全義) | |||||||||||||||
활동분야 | 문신 [상세내용]이덕숭(李德崇)생년 미상~1504년(연산군 10)(주1)
증조부는 이작(李作)이며, 조부는 이의흡(李宜洽)이고, 부친은 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 이신효(李愼孝)(주3)
모친은 창녕성씨 성허(成栩)의 딸이고, 부인은 홍순성(洪循性)의 딸 남양홍씨(南陽洪氏)이다. 동생은 시정(寺正) 이녹숭(李祿崇)‧ 홍문관부제학(弘文館副提學) 이명숭(李命崇)이다. 1462년(세조 8년)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1479년(성종 10)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사헌부집의(行司憲府執義)에 올랐으며, 1482년(성종 13) 진현시에 급제하였다. 이후 품계가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르고 동부승지(同副承旨)‧ 사간원대사간(司諫院大司諫)‧충청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충청도관찰사를 지낼 때 관직에서 사직하였으나, 1493년(성종 24)에 다시 사간원대사간에 제수되었다. 이후 병조참의(兵曹參議)‧형조참의(刑曹參議)에 올랐다. 연산군 때 대사간으로 지내며 직언을 서슴지 않다가 화를 입었다. 묘소는 충청북도 충주시(忠州市) 신니면(薪尼面)에 있다. 사후 중종의 계비(繼妃)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외조부로서 우의정(右議政)에 추증되었다. 아들은 이구령(李龜齡)‧이구수(李龜壽)이다.
[참고문헌]國朝文科榜目 [집필자]정병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