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호,이익선생의遊淸凉山記(유청량산기)
성호선생의遊淸凉山記(유청량산기)
내가 순흥부에서 벗 신택경과 청량산 유람하기로 약속하고 서둘러 여장을 꾸려 출발한 것은 기축년(1709) 11월 초하루였다. 저녁에 안동 경계 청암정에 이르렀는데, 고 충정공 충재 권벌이 살던 곳이다. 도랑을 내고 둑을 쌓아서 물이 구복암을 감싸고 넘실대며 흘렀다. 바위 위에 정자 세웠는데 매우 절묘하여 즐길 만하였다. 이어서 삼계서원에 들렀는데, 바로 충재를 제향하는 곳이다. 금명구, 권보, 권모 세 사람과 함께 서원에서 잤다. 두 권 씨는 충재의 후손이다. 홍세전이 문득 와서 동행하였다. 느지막이 불퇴령에 올라 청량산을 바라보았다. 이 산은 태백(백두)에서 뻗어 나와 남쪽으로 달려와서 우뚝이 높이 솟아서 작은 구역의 명산이 되었다. 마치 창과 깃대가 빽빽하게 늘어선 진영 모양 같기도 하고, 또 여러 부처가 연화탑 속에서 무리지어 옹위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여, 하늘 높이 떠서 구름과 어울려 있는 형세가 나지막한 산들 가운데서 빼어나니, 참으로 이른바 명불허전이다. 날이 어두워져서 촌락 사람들에게 관솔불로 앞길을 인도하게 하여 낙동강을 건너고 밤이 깊어서야 비로소 산에 도착했다. 하늘이 이미 캄캄해져서 길을 찾느라 애를 먹어 골짜기와 구렁이 어떻게 생겼는지 도무지 알지 못하였다. 산이 맑은 못, 거센 여울, 괴상한 바위, 첩첩한 봉우리와 같은 기이하고 뛰어난 경치는 없으나 사방 절벽이 깎아지른 듯 솟아 공중을 이고 있지 않은 것이 없어서 병풍을 치고 휘장을 드리운 모양 같았다. 바라보니 마치 넘어져서 덮칠 듯하여 아득히 더위잡고 기어오를 방법이 없었다. 이런 점은 금강산과 속리산에는 없는 것으로서 여러 명산이 한 발 양보해야 한다.
|
|
|